사업소개

타이틀이미지

Overview

Telecare 솔루션 / 개요


Telecare 솔루션 / 개요

Telecare 솔루션 / 서비스 플랫폼

TELECARE 서비스 플랫폼

LivOn TSP

LivOn TSP(Telecare Service Platform)는 운영기관, 가족 및 서비스 수혜자를 위한 S/W 솔루션입니다. LivOn은 제품의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LivOn TSP 서비스


LivOn TSP 서버는 텔레케어 서비스을 위한 장지관리자 및 서비스 매니저 등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됩니다.

LivOn TSP 서비스

LivOn TSP 웹


LivOn TSP는 서비스 수혜자, 가족 및 간병인 등을 위한 웹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간병인 응용 프로그램


간병인 응용 프로그램

LivOn TSP App


LivOn TSP 앱은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폰 응용 프로그램 입니다.

가족 응용 프로그램

해외사업 / 현황

해외 선진 각국은 고령사회를 지나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이들 선진 국가들은 방문 간호나 요양 시설 위주의 고령자 안전 복지 체계를 운영해왔으나, 복지 예산의 증대 및 서비스 품질 향상에 있어 한계에 봉착하였고, 이에 대한 비용 효율적인 수단으로서 텔레케어를 도입하고 있으며, 공공 서비스와 민간서비스가 상호 보완관계를 이루며 발전하고 있습니다.


해외사업 / 현황

해외사업 / 현황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스페인 일본 미국
고령자 인구 (65세 이상 인구) 16.9 12.1 10.7 10.2 7.7 46.7 43.0
시장 규모 (65세 이상 인구 중 35%) 5.9 4.2 3.8 3.6 2.7 16.3 15.0
TELECARE 보급률 0.0% 0.1% 13.6% 48.9% 23.0% - N /A



해외사업 / 사업내용

해외 선진 시장을 대상으로 하이디어장비 및 운영 서버 플랫폼을 수출하는 사업입니다. 유럽, 미국, 일본 등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선진 국가는, 노인 복지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 Telecare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기존 음성 위주의 유선 통신 기반 1세대 경쟁 제품에 대비, 하이디어는 다양한 센서를 활용한 사고 감지 및 무선 통신 기반의 고가용 서비스가 가능한 3세대 제품으로 해외 시장 개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외사업 / 사업내용

공공사업 / 현황

우리나라는 2000년에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이 자치하는 비율이 7.2%로 유엔이 규정한 7%를 넘어서 ‘고령화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9년에는 전체 인구의 14%를 차지하는 ‘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여기에 핵가족화가 더해져 독거노인이 늘고 있으며, 현재 65세 이상 독거노인은 약 130만 명에 이르며, 2030년에는 28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보건복지부는 2008년 독거노인 대상 텔레케어 서비스를 도입, 어르신 댁에 텔레케어 장비를 설치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응급상황을 감지, 신속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3년 부터는 중증장애인으로 대상을 확대 하였으며, 2014년 말 기준 8만 명만이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공공사업 / 현황

공공사업 / 사업내용

독거노인 및 중증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응급안전 시스템 구축 및 댁내장비 납품


공공사업 / 사업내용

공공사업 / 차별성

공공사업 / 차별성
사업연도 통신사 사업자 정상운영율
2008년 KT K사 41.2%
2009년 SKT 하이디어 97.7%
2010년 SKT 하이디어 98.6%
2011년 KT T사 84.1%
2012년 SKT 하이디어 96.8%
2012년 KT T사 87.4%
2013년 KT D사 78.2%
2014년 SKT 하이디어 99.9%
2014년 KT T사 90.5%
2014년 KT Y사 96.3%

공공사업 / 구축현황

공공사업 / 구축현황

구축현황
사업명 발주처
2014년(2차) 장애인 응급알림e 사업 서울 강남구 외 6개 지자체(약 400 가구
2014년(7차) 독거노인 응급안전돌보미 사업 대구 남구 외 29개 지자체(약 5,200 가구)
2013년(1차) 장애인 응급알림e 사업 서울 강서구 외 19개 지자체(약 2,200 가구)
2012년(5차) 독거노인 응급안전돌보미 사업 세종시 외 8개 지자체(약 4,500 가구)
2010년(3차) 독거노인 응급안전돌보미 사업 수원시 외 8개 지자체(약 13,000 가구)
독거노인 응급안전돌보미 사업 과천시(150 가구)
독거노인 응급안전돌보미 사업 김제시(700 가구)
2009년(2차) 독거노인 응급안전돌보미 사업 동해시 외 5개 지자체(약 9,800 가구)

LivOn스마트케어 소개

LivOn스마트케어 서비스는 응급호출기, 동작 및 환경 감지센서 등을 활용한 모니터링을 통해 고령자가 일상생활을 잘 하고 계신지 확인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보호자에게 연락해 후속 조치를 제공하는 서비스 입니다. LivOn스마트케어는 국내 최초의 민간 서비스로서 기존 텔레케어 서비스 외 건강상담 등의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LivOn스마트케어 소개

IoT Solution / 기술력

대규모 무선센서네트워크 구현기술 확보

● ZigBee/WCDMA/Ethernet Convergence 기술 확보
● Application-Optimized Network Topology 구축 기술 확보


우수한 경제성

● 현존하는 ZigBee Chip solution 의 확장성 한계를 convergence 기술로 극복
● 추가적인 메모리 확장 없이 Multi-Hopping 대규모 무선 센서 네트워크 구현


Market Reference 확보

● 다양한 산업 분야의 Market Reference 확보


Market Reference 확보

Smart YMS(Yard Management System)

생산시설의 입고, 출고업무를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처리하며 생산제품의 현재위치와 상태정보를 관제실에 제공하는 시스템


Smart YMS

Smart CMS(Container Management System)

생산시설 내에서 부품, 반제품, 완제품을 운반하는 컨테이너 차량의 작업상황, 작업위치 등의 정보를 파악하여 관제실에 제공하는 시스템


Smart CMS

Smart Safety

조선산업과 같이 재해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현장 작업장에서 환경탐지 센서 및 재해 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각종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시스템


Smart Safety

Smart EMS(Energy Management System)

전력IT사업의 핵심분야 중 하나로 ZigBee 망을 활용하여 산업 현장 내의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 에너지 절감효과를 극대화하는 시스템


● 무선제어네트워크는 듀얼 밴드(433MHz/2.4GHz)로 구성  안정적인 무선 서비스 지원
● 통합관제시스템과 무선 센서네트워크와의 연결은 유선(LAN) 지원
● 집합건물 내에서의 각종 전력기기는 PLC로 제어
● 산업 현장 내의 에어컨, FAN, 가로등, 호선 등의 원격 Peak전력 감지 및 on/off 제어기능 수행


Smart EMS

Smart CCMS(Concrete Curing Management System)

콘크리트 양생 과정 중의 콘크리트 내 온도를 측정하여 원격에서 관제하는 시스템


● 원격 콘크리트 양생 모니터링 시스템
● ZigBee 센싱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양생 과정 중의 콘크리트 내 온도 측정
● ZigBee Router와 ZigBee Gateway를 통해 무선 원격 모니터링
● 통합관제시스템과 무선 센서네트워크와의 연결은 유선(Ethernet)
● 실시간 콘크리트 구조체 적소의 정확한 압축강도, 성숙도 결과 획득
● 기존 수작업에 의한 불확실성 제거, 현장 인력 투입 시간 절약
● 실시간 정확한 양생 모니터링에 따른 전체 공사 일정 단축


Smart CCMS